안녕하세요. SC_Team 입니다.
이전글에서는 ESCAPE문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이번강의에서는 서식문자(제어문자)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서식문자(제어문자)란 ?
(layout character, format effector character)
1.인쇄, 표시 또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어문자이다.
서식 문자 |
출력 결과 |
%d |
10진(Decimal) 정수 |
%o |
8진(octal) 정수 |
%x |
16진(hexadecimal) 정수 |
%p |
포인터 정수(16진수) |
%u |
부호없는(Unsinged) 10진 정수 |
%f |
10진형 소수점수 |
%c |
단일 문자(Character) |
%s |
문자열(String) |
이렇게나 많이 있네요.
이것들을 다 무식하게 외우지말고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겠습니다.
그럼 여기서 자주 사용하는것들을 바탕으로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character01.c라는 소스파일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.
#include <stdio.h>
void main() { // 컴퓨터가 인식하기를 + - * 는 같지만 나누기같은경우에는 /는 몫을 %는 나머지를 나타낸다.
printf("정수계산 \n");
printf("%d + %d = %d\n", 10, 5, 10 + 5);
printf("%d - %d = %d\n", 10, 5, 10 - 5);
printf("%d * %d = %d\n", 10, 5, 10 * 5);
printf("%d / %d = %d\n", 10, 5, 10 / 5);
printf("\n");
printf("소수점 계산 \n");
printf("%f + %f = %f\n", 1.5, 2.5, 1.5 + 2.5);
printf("%f - %f = %f\n", 3.5, 2.3, 3.5 - 2.3);
printf("\n");
printf("단일 문자 표현\n");
printf("a를 나타내보자 [%c]\n" ,'a');
printf("문자 %c의 아스키코드 값은 %d 이다.\n", 'a', 'a');
printf("\n");
printf("문자열 표현\n");
printf("%s\n","Hello String");
printf("%s + %s \n", "Hello", "String");
}
잘 따라 하셨나요 ?
이제 결과를 보고 왜 그렇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.
character01.c 결과
이렇게 결과가 나왔습니다.
몇 가지들을 예로 설명 해드리겠습니다.
정수형계산 printf를 보시게 되면
%d + %d = %d\n 입니다.
즉 첫번째에는 10을 넣고 2번째에는 5를 넣고 3번째에는 (10+5) 한 값을 넣는다는말입니다.
실수형도 마찬가지이구요.
단일 문자 printf를 보시게 되면
"a를 나타내보자 [%c]\n" 라고 되있을건데
'a' 라는 단일문자를 %c에 담는다 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.
그리고 2번째 단일문자
"문자 %c의 아스키코드 값은 %d 이다.\n" 이라 되있는데
단일문자를 표현할때는 %c를 사용하여 'a'라는 단일문자가 나타났는데
뒤에 %d를 사용하여 아스키 코드값인(10진 정수)'97'라는것도 나왔네요.
문자열 printf를 보시게 되면
"%s\n" 에 Hello String 이라는 값을 담아주네요 .
그리고 두번째 같은경우에는
"%s + %s \n" 인데
첫번째 %s에 Hello 라는문자열을 담아주고
두번째 %s에 String 이라는 문자열을 담아줬습니다.
여기까지 서식문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.
다음 강의에서는 진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수고하셨습니다.
이상 SC_Team 이였습니다.
Copyright 2018. SimpleCodingTeam. All rights reserved.
'프로그래밍 > C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언어 ESCAPE문자 배우기 (0) | 2018.05.14 |
---|---|
C언어 기본문법 배우기 (0) | 2018.05.07 |
C언어 프로젝트 만드는법 (0) | 2018.05.07 |
Visual studio를 설치해보자 (4) | 2018.05.03 |
C언어를 배우기전 입문자들에게 (8) | 2018.04.09 |